ssh는 Secure Shell 약자이다.
ssh: 원격 머신에 로그인하여 그 안에 있는 명령들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우선 사용 가능한 패키지들과 그 버전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를 해야 하므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sudo apt-get update
업데이트를 진행하였으면, 이제 OpenSSL를 설치해야 한다.
1. openSSL 사이트에 들어가서 원하는 버전을 다운 받는다.
https://www.openssl.org/source/
/source/index.html
Downloads The master sources are maintained in our git repository, which is accessible over the network and cloned on GitHub, at https://github.com/openssl/openssl. Bugs and pull patches (issues and pull requests) should be filed on the GitHub repo. Please
www.openssl.org
스크롤을 아래로 좀만 내리면 아래 이미지처럼 tar.gz 파일들이 있을 것이다.

원하는 버전으로 다운 받으면, 본인이 원하는 버전에 tar.gz 파일이 다운로드가 된다.
2. openssl-X.X.X.tar.gz 파일을 압축 풀어야 한다.
tar -xvf openssl-X.X.X.tar.gz
3. 압축을 풀었으면, openssl-X.X.X 폴더로 들어가야 한다.
cd openssl-X.X.X
4. openssl-X.X.X 폴더로 들어가서, ls 명령어를 입력해서 조회해본다.
(아래 이미지에서 우리는 config를 실행해야 한다)

./config
위에 명령어를 실행하고 아래 이미지처럼 뜨게 된다면 config 실행이 정상적으로 된 것이다.

config 실행이 정상적으로 되었다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5. make 명령어를 사용해 소스를 컴파일한다.
컴파일: 소스파일을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파일로 만들어 주는 과정
make
대략 5분 정도 소요되므로, 5분 동안 다른 시간을 가지도록 하자.
실행하기 전 make 설치가 안되어있다면 설치를 먼저 하도록 하자.
sudo apt-get install gcc make
아래 이미지처럼 뜬다면? 실행 가능한 파일로 잘 만들어 준 것이다.

6. 실행 가능한 파일을 만들었으면 이제 설치를 해야 한다.
make install
이것도 마찬가지로 대략 5분 정도 소요되므로, 5분 동안 다른 시간을 가지도록 하자.
설치가 잘 되었으면 버전 확인을 해서 잘 뜨는지 확인한다.
%% version OPENSSL_3.0.9' not found (required by openssl) 메시지 해결%%
버전 조회시 위의 메시지처럼 뜬다면, 아래 명령어들을 실행해보자.
./Configure
make
make install
ldconfig /usr/local/lib64/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WSL을 사용하여 Windows에 Linux를 설치하는 방법 (0) | 2024.02.18 |
---|---|
[Linux] 리눅스 부팅 시 톰캣 자동 실행 (0) | 2023.06.05 |
리눅스(Linux)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2.27 |
ssh는 Secure Shell 약자이다.
ssh: 원격 머신에 로그인하여 그 안에 있는 명령들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우선 사용 가능한 패키지들과 그 버전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를 해야 하므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sudo apt-get update
업데이트를 진행하였으면, 이제 OpenSSL를 설치해야 한다.
1. openSSL 사이트에 들어가서 원하는 버전을 다운 받는다.
https://www.openssl.org/source/
/source/index.html
Downloads The master sources are maintained in our git repository, which is accessible over the network and cloned on GitHub, at https://github.com/openssl/openssl. Bugs and pull patches (issues and pull requests) should be filed on the GitHub repo. Please
www.openssl.org
스크롤을 아래로 좀만 내리면 아래 이미지처럼 tar.gz 파일들이 있을 것이다.

원하는 버전으로 다운 받으면, 본인이 원하는 버전에 tar.gz 파일이 다운로드가 된다.
2. openssl-X.X.X.tar.gz 파일을 압축 풀어야 한다.
tar -xvf openssl-X.X.X.tar.gz
3. 압축을 풀었으면, openssl-X.X.X 폴더로 들어가야 한다.
cd openssl-X.X.X
4. openssl-X.X.X 폴더로 들어가서, ls 명령어를 입력해서 조회해본다.
(아래 이미지에서 우리는 config를 실행해야 한다)

./config
위에 명령어를 실행하고 아래 이미지처럼 뜨게 된다면 config 실행이 정상적으로 된 것이다.

config 실행이 정상적으로 되었다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5. make 명령어를 사용해 소스를 컴파일한다.
컴파일: 소스파일을 사용자가 실행 가능한 파일로 만들어 주는 과정
make
대략 5분 정도 소요되므로, 5분 동안 다른 시간을 가지도록 하자.
실행하기 전 make 설치가 안되어있다면 설치를 먼저 하도록 하자.
sudo apt-get install gcc make
아래 이미지처럼 뜬다면? 실행 가능한 파일로 잘 만들어 준 것이다.

6. 실행 가능한 파일을 만들었으면 이제 설치를 해야 한다.
make install
이것도 마찬가지로 대략 5분 정도 소요되므로, 5분 동안 다른 시간을 가지도록 하자.
설치가 잘 되었으면 버전 확인을 해서 잘 뜨는지 확인한다.
%% version OPENSSL_3.0.9' not found (required by openssl) 메시지 해결%%
버전 조회시 위의 메시지처럼 뜬다면, 아래 명령어들을 실행해보자.
./Configure
make
make install
ldconfig /usr/local/lib64/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WSL을 사용하여 Windows에 Linux를 설치하는 방법 (0) | 2024.02.18 |
---|---|
[Linux] 리눅스 부팅 시 톰캣 자동 실행 (0) | 2023.06.05 |
리눅스(Linux)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3.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