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는 인프라에 사용되는 서버, 저장소,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데이터 분석 등을 포함해 사용자가 언제든지 인터넷과 모바일 등을 통해 IT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컴퓨팅 기술이다.
애자일 방법론을 활용한 민첩한 서비스 도입과 탄력적인 확장과 축소, 자동화된 서비스 유지관리를 통해 운영 비용을 낮추고,
애자일 방법론: 일단 프로젝트를 시작한 후 끊임없이 개선 노력
비즈니즈 요구사항의 변화를 빠르게 적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비즈니스 요구사항: 솔루션과 기대하는 궁극적인 비즈니스 성과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젝트에 대한 니즈를 설명하는 종합적인 정보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최근 화제가 되는 제4차 산업혁명의 데이터 처리 플랫폼으로서 클라우드 컴퓨팅이 인프라 플랫폼으로 제시되고 있다.
가트너(미국의 정보기술 연구 및 자문회사) 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에게 하나의 서비스로서 방대한 IT 능력을 제공하는 컴퓨팅 방식
유틸리티 컴퓨팅이란?
기업 내의 IT 부서나 외부의 서비스 제공자가 고객에게 컴퓨팅에 사용되는 여러 자원과 기반 시설 등의 관리를 제공하는 형태이다.
다양한 컴퓨팅 자원에 대한 사용량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는 종량제 방식의 기술 기반
- 필요할 때 가져다 쓴다는 온-디맨드 컴퓨팅 방식
그리드 컴퓨팅이란?
가상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분산된 컴퓨팅 자원을 공유하도록 하는 기술 방지 (인터넷의 유휴 자원을 활용)
클라우드 컴퓨팅 특징
- 주문형 셀프 서비스: 고객이 IT 서비스 제공자의 개입 없이 원하는 시점에 바로 서비스를 사용
- 광대역 네트워크 접근: 각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가 제공하는 광대역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양한 클라이언트 플랫폼이 빠르게 접속
- 신속한 탄력성과 확장성: 자동 조정 기능을 통해 몇 분 안에 신속한 확장과 축소를 조정할 수 있다.
- 자원의 공통관리: 물리적 및 가상화된 자원을 풀로 관리, 탄력적으로 사용자 요구에 따라 동적으로 할당 또는 재할당된다.
- 측정 가능한 서비스: 자원 사용량이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요금산정 기능을 통해 비용이 발생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구조
최하위 계층으로 자원 활용과 관련된 물리적 시스템 계층, 가상화 계층, 프로비저닝 계층이 있고, 클라우드 서비스와 관련된 클라우드 서비스 관리 계층, 클라우드 서비스 계층으로 구분된다.
그 위로는 사용자와 관련된 클라우드 접근 계층과 사용자 역할에 따른 연결성 구분을 설정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제공 방식과 클라우드 서비스 종류
클라우드 컴퓨팅 제공 방식
1. 온프레미스
- 클라우드 개념이 도입되기 전에 대부분의 기업이 자체 데이터 및 솔루션 등을 저장하기 위해 자사에 데이터 센터를 구축 하여 IT 서비스를 수행했다.
- 하지만 이 방식은 하드웨어부터 모든 자원에 대한 초기 투자 비용과 탄력적이지 않은 제한된 용량으로 인해 지속된 관리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2. 퍼블릭 클라우드
- 인터넷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에게 서버 및 스토리지 등의 클라우드 자원을 AWS, GCP, Azure와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로부터 제공받는 방식이다.
3. 프라이빗 클라우드
- 제한된 네트워크에서 특정 사용자나 기업만을 대상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방식이다.
- 클라우드 자원과 데이터는 기업 내부에 저장되고 유지 관리에 대한 책임 또한 기업이 갖는다.
4.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퍼블릭 클라우드와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결합하여 두 가지 서비스의 장점을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든
클라우드 서비스 방식이다.
- 기업 내부의 민감하고 중요한 데이터 처리 작업은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사용하고, 일반 업무 데이터 처리 같은 보안 요구 사항이 낮은 작업이나 워크로드가 지속해서 증가하는 작업에는 퍼블릭 클라우드를 사용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종류
클라우드 서비스란?
언제 어디서나 별도의 소프트웨어 등을 설치하지 않고 인터넷 접속을 통해 저장해 놓은 데이터에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1. 서비스로서의 인프라스트럭처 Infrastructure as a Service, laaS
- 서버, 스트리지, 네트워크와 같은 인프라 하드웨어 자원을 가상화하여 사용자 요구에 따라 인프라 자원을 사용할 수 있게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방식이다.
laaS: 자동화되고 신속한 확장성을 갖고 있는 IT 인프라
2. 서비스로서의 플랫폼 Platform as a Service, PaaS
- 서비스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 개발, 실행, 관리 등을 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플랫폼 또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방식이다.
3.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 Software as a Service, SaaS
- 소프트웨어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클라우드에 접속하여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클라우드 서비스 방식이다.
'도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커 자체적으로 로깅, 디버깅하는 방법 (0) | 2023.02.28 |
---|---|
윈도우에서 도커 엔진 설치하기 (0) | 2023.02.28 |